WebAssembly가 차세대 웹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는 이유

개발 테크
2시간 전
조회수
23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개발 속도와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웹 개발 분야에서도 WebAssembly(WASM)를 적용하며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는 기술 혁신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엣지 등 주요 브라우저에서 WebAssembly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웹 표준으로 채택하며, 전 세계 개발자들이 WebAssembly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웹의 경계를 낮추며 더 빠르고 완성도 높은 개발을 지원하는 WebAssembly에는 어떤 특징이 있을까요?

 

 

WebAssembly(WASM)란 무엇인가

webassembly

WebAssembly(웹어셈블리, 줄여서 WASM) 웹 브라우저 안에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처럼 빠르게 실행되는 새로운 코드 형식입니다. 쉽게 말해, 웹에서도 C 언어처럼 빠른 프로그램을 돌릴 수 있게 하는 기술이죠.

C, C++, Rust 같은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 자바스크립트보다 효율적이면서 네이티브에 가까운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바이너리 코드란(Binary Code)?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준의 언어로,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 형태의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WebAssembly는 C, C++, Rust, Go 같은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가 해석 과정 없이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wasm 파일)’로 변환해, 기존에는 보안이나 호환성 문제로 웹에서 실행하기 어려웠던 코드들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WebAssembly는 왜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rust-webassembly

 

JavaScript 연산의 한계

웹에서 단순한 2D 게임이나 인터랙티브한 콘텐츠는 대부 JavaSciprt로 구현했습니다. 하지만 게임의 그래픽 수준이 높아지고영상 편집이나 인공지능처럼 고성능을 요구하는 작업이 늘어나면서기존의 JavaScript 방식으로 해결하기에 처리시간이 오래걸리는 어려움이 생겨났습니다.

 

플러그인의 번거로움

JavaScript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Flash, Silverlight, Java Applet 같은 플러그인(Plugin)  방식이 사용되었습니다. 

플러그인을 활용해 C나 Java 같은 고성능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브라우저 안에서 실행할 수 있었지만, 보안상 취약점이 많고, 브라우저마다 호환 방식이 달라 Flash Player, Silverlight 런타임, Java JRE 같은 실행 환경을 직접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있어 개발 효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JavaScript와 플러그인의 한계를 극복한 WASM

JavaScript와 플러그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WebAssembly’입니다.

자바스크립트가 단일 스레드 기반으로 작동하는 반면, WebAssembly는 멀티스레딩을 지원해 수십 개의 CPU 코어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C, C++, Rust 같은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가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바이너리 코드(Binary Code)로 변환해, 플러그인이 없이도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가까운 속도로 실행 수 있게 지원하죠. 

보안성 또한 강화되어, 개발자들은 WebAssembly를 통해 이제 웹 환경에서도 AI, 3D 그래픽, 영상 편집 등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적화된 성능을 실현하는 

WebAssembly의 5가지 특징

wasm

 

1) 언어 독립성

WebAssembly는 C, C++, RustGo, Kotlin, Swift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아 기존 네이티브 프로젝트(예: 게임 엔진, 보안 모듈, AI 연산 코드 등)를 웹 환경으로 손쉽게 이식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기존 코드 자산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이식성과 호환성

WebAssembly는 크롬, 사파리, 파이어폭스, 엣지 등 모든 브라우저에서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W3C 웹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운영체제(Windows, macOS, Linux)에 상관없이 한 번 빌드 한 .wasm 파일을 어떤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실행 수 있어, 개발자는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3) 샌드박스 기반의 안전한 실행 구조

WebAssembly는 브라우저의 샌드박스(Sandbox) 환경 안에서 실행됩니다. 코드가 운영체제나 로컬 파일 시스템에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되어 있어, 외부 침입이나 악성코드 실행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이 구조 덕분에 Flash나 Java Applet에서 발생하던 보안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플러그인 없이도 안전하게 고성능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4) 자바스크립트와의 상호 운용성

많은 사람들이 WebAssembly가 JavaScript를 대체한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JavaScript를 대체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서로의 강점을 결합하는 보완적 관계에 가깝죠.

UI 렌더링, 이벤트 처리, DOM 조작은 JavaScript가 담당하고, 연산이 많은 부분은 WebAssembly가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빠르면서도 유연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5) 확장성과 범용성

WebAssembly는 Node.js, Deno, Cloudflare Workers, IoT, 엣지 컴퓨팅 다양한 환경에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wasm 모듈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엣지 환경까지 동일한 실행 구조를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개발자는 생산성과 유지 보수성 모두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WebAssembly로 만들면 

‘압도적으로’ 좋아지는 프로젝트 3가지

wasm-이란

 

1) AI 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형 AI가 확산으로, LLM(Language Model)을 단순히 호출하는 단계를 넘어, 현장 환경과 도메인에 맞춰 직접 개발·최적화하는 AI 애플리케이션이 활발히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이럴 때 WebAssembly를 활용하면 AI 모델을 브라우저나 로컬 환경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어, 서버 의존도를 낮추고 속도, 비용, 보안 측면 모두에서 훨씬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기업들은 실제로 WebAssembly를 활용해 AI 모델을 구동하고 있는 대표 사례입니다.

 

WebAssembly를 활용한 AI 모델 구동 사례

  • TensorFlow.js (Google) — 브라우저에서 AI 모델 추론을 수행하는 WebAssembly 백엔드
  • ONNX Runtime Web (Microsoft) — WebAssembly로 CPU 기반 AI 추론을 최적화
  • Whisper Web (OpenAI) —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모델을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 Hugging Face Transformers.js — 자연어 처리(NLP) 모델을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실시간 동작

 

2) 브라우저 기반 영상·음성 편집 툴

WebAssembly를 적용하면, 브라우저 환경에서도 자연스럽고 빠르게 구동되는 편집 툴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FFmpeg.wasm과 WebCodecs 같은 WASM 기반 미디어 엔진이 발전하면서, 이제 웹에서도 로컬 애플리케이션에 준하는 고성능 영상·음성 편집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기업들은 실제로 WebAssembly를 활용해 영상·음성 편집 성능을 개선한 대표 사례입니다.

 

WebAssembly를 활용한 영상·음성 편집 성능 개선 사례

  • Clipchamp (Microsoft) — FFmpeg.wasm을 활용해 브라우저 내 영상 인코딩·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킨 클라우드 편집 플랫폼
  • VEED.io — WebAssembly 모듈로 실시간 영상 미리 보기와 필터 처리를 최적화한 브라우저 기반 편집 서비스
  • Runway ML — WASM + WebGPU 조합으로 브라우저에서 AI 모델과 영상 엔진을 동시 구동하는 생성형 영상 플랫폼
  • Kapwing — WebAssembly 처리 엔진으로 대용량 영상·오디오 편집 속도를 개선한 협업형 온라인 편집 툴

 

3) 3D 그래픽 및 게임·시뮬레이션 엔진

WebAssembly(WASM)는 C/C++ 같은 고성능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덕분에 웹 환경에서도 게임, 시뮬레이션, CAD, 3D 렌더링 등 고성능 그래픽 애플리케이션을 플러그인 없이 ‘네이티브에 가까운 속도’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WebAssembly를 활용한 고성능 엔진 최적화 사례

  • Unity WebGL (Unity Technologies) — C/C++ 런타임을 WebAssembly로 변환해, 브라우저에서도 플러그인 없이 3D 게임 실행 지원
  • AutoCAD Web App (Autodesk) — 데스크톱 CAD 엔진을 WebAssembly로 포팅 해, 브라우저에서 정밀한 설계, 렌더링 구현
  • Godot Web (Godot Engine) — 오픈소스 게임 엔진으로, WASM 빌드를 통해 PC·모바일·웹 브라우저 간 동일 성능 제공

 

 

기존 언어 개발자를 위한 WebAssembly 전환 가이드

golang-webassembly​

 

C/C++ 개발자

C/C++ 개발자는 Emscripten 툴체인을 활용해 기존 네이티브 코드를 WebAssembly로 컴파일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보다 훨씬 빠른 연산 속도를 제공하고, 영상 처리나 물리 엔진처럼 CPU 연산이 많은 로직을 브라우저에서 그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덕분에 기존 데스크톱 앱을 웹 환경으로 손쉽게 이식할 수 있고, ‘러그인 없는 고성능 웹 앱’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Rust 개발자

Rust 개발자는 wasm-bindgen 또는 wasm-pack을 사용해 손쉽게 WebAssembly 모듈을 빌드 할 수 있습니다.

Rust의 강력한 메모리 안전성과 최적화된 컴파일 구조를 그대로 살리면서, 보안성과 성능을 동시에 확보한 WebAssembly 모듈을 만들 수 있어, AI 모델 추론실시간 데이터 처리암호화 연산 등 고 신뢰, 고 성능 웹 서비스를 브라우저 환경에서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 / TypeScript 개발자

JavaScript 개발자는 직접 WebAssembly를 만들기보다는, 기존의 WASM 모듈을 불러와 실행하거나 AssemblyScript(TypeScript의 정적 타입 버전)를 활용해 WebAssembly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프론트엔드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산 집약적인 부분만 WebAssembly로 보완해 ‘JavaScript의 유연함’과 ‘WASM의 성능’ 결합한 하이브리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언어

사용 도구 / 방식

적용 방법

효과 및 장점

C/C++

Emscripten 툴체인

기존 C/C++ 코드를 WebAssembly로 컴파일하여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 네이티브에 가까운 연산 속도

- 기존 데스크톱 코드를 웹으로 손쉽게 이식

- 영상 처리, 시뮬레이션, 게임 엔진 등 고성능 앱 구현

Rust

wasm-pack / wasm-bindgen

Rust 코드를 WebAssembly 모듈로 빌드하여 JS와 상호작용

- 보안성과 메모리 안전성 확보

- AI 모델 추론, 암호화, 실시간 연산 등 고신뢰 작업에 적합

- 고성능 + 안정성 결합

JavaScript / TypeScript

AssemblyScript 또는 외부 WASM 모듈 호출

TS 유사 문법으로 직접 WASM 작성하거나, C/C++/Rust로 만든 WASM 모듈을 JS에서 호출

- 기존 프론트엔드 구조 유지하면서 성능 개선

- 연산 집약적 부분만 WASM으로 최적화

- JS의 유연함과 WASM의 성능 결합

 

“보다 빠르게, 보다 안전하게, 

Run with WebAssembly!”

 

기술의 발달로 개발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기존 방식을 조금만 바꿔도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혁신적인 개발이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WebAssembly의 등장으로, 웹에서도 네이티브 수준의 성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노코드는 코드 한 줄 없이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했고, 바이브 코딩은 누구나 손쉽게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시대를 열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WebAssembly는 그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완성도 높게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기술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혁신, 바라보지만 말고 — 지금 바로 WebAssembly와 함께 만들어가보세요.

FAQ

freelancerBanner
projectBanner
댓글0
이랜서에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보세요!
0
/200
이랜서에 로그인하고 댓글을 남겨보세요!
0
/200
실시간 인기 게시물
이랜서 PICK 추천 게시물